실내 적정온도
겨울철의 실내 적정온도는 18~20도입니다.
온도가 1도씩 낮아질수록 난방비 7%가 절감된다고 하는데요.
우리집이 현재 몇 도로 유지되고 있는지
온도가 과도하게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체크하면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크면 감기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므로
실내적정온도로 설정해 약간 서늘한 느낌이 들도록 유지해야 합니다.
난방비 절약 방법
1. 보일러와 가습기를 함께 틀어놓는다.
2. 뽁뽁이를 창문에 붙여놓는다.
3. 짧은 외출 시 온도를 2~3도 가량 낮춰 둔다.
4. 단열스프레이를 창문에 뿌린다.
5. 커튼, 담요, 카펫 등을 활용한다.
6. 내복이나 양말을 챙겨 신는다.
7. 실내적정온도를 유지한다.
실내 적정습도
보일러와 함께 습도를 유지하면 난방비가 절감된다고 하는데요.
겨울철 실내 적정습도는 40%~50% 정도라고 합니다.
겨울철에는 실내 습도가 내려가기때문에 적정 습도를 유지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낮은 실내 습도는 감기 증상에 기관지염, 폐렴과 같은 합병증을 동반하기 쉽습니다.
실내습도 유지 방법
1. 가습기 작동하기
2. 빨래 널기
3. 물 떠놓기
4. 물 젖은 숯 담아놓기
5. 조경 식물 기르기(포인세티아, 산세베리아)
아이들은 기관지가 약하기 때문에
겨울철 건강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주어야합니다.
어린 아이들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부모님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데요.
우리 아이가 더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기 위해서는
아이의 2차 성징 증상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여아의 경우 가슴 몽울이 생기고, 남아의 경우 머리에서 냄새가 나며 2차 성징이 시작되는데
이때를 기준으로 초경과 변성기 시작 이후 2년 정도를
사춘기라고 합니다.
요즘 아이들은 여러가지 환경변화에 사춘기가 빨리 찾아오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사춘기가 빨리찾아오면 그만큼 성장판도 빠르게 닫힌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겨울철,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며 활동량이 줄어든 우리 아이들을 위해
난방온도, 습도유지와 '성조숙증'에 신경써주세요 ^^
서정한의원, 성조숙증, 강남 성조숙증, 성조숙증 한의원, 성조숙증 병원, 선정릉역 2번출구, 분당선 성조숙증
'어린이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생 겨울방학 체험학습 조선일보 뉴지엄 기자체험 (0) | 2015.01.19 |
---|---|
성조숙증 초등학교 입학식 초등학생 입학선물 추천 (0) | 2015.01.16 |
강남 성조숙증 서정한의원 겨울방학 서울시티투어버스 이용법 (0) | 2015.01.15 |
강남 성조숙증 초등학생 겨울방학학습 국립고궁박물관 (0) | 2015.01.13 |
겨울축제 겨울방학체험 화천산천어축제 (0) | 2015.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