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연평해전이 어제 24일 개봉했다는 소식이 있었죠!
12세 관람가로, 우리 청소년들이 보아도 좋을 영화로 추천해드립니다.
그렇다면, 영화의 소재가 된 역사적인 사건 '연평해전'에 대해 알아봅시다.
연평해전이란 서해교전으로 불리는 사건입니다.
1999년, 2002년 총 2차례에 걸쳐 일어난 이 사건은
북방한계선(NLL) 남쪽의 연평도 해상에서 벌어진 전투입니다.
육상경계선에 대한 양측 합의는 이루어졌으나,
동서 해안의 해상경계선에 대해서는 남북한 사이에 명시적인 합의가 없었기에
유엔군은 서해상에 당시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영해 기준 3해리를 고려하고
연평도·백령도 등 5개 도서와 북한지역과 개략적인 중간선을 기준으로
북방한계선(NLL)을 설정하였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효력을 부인하며 침범을 해옵니다.
제1차 연평해전의 시작은
1999년 6월 7일과 8일, 연이어 북방한계선을 침범한 것이 발단이 되었습니다.
이후에도 북한 경비정의 침범이 계속되자
대한민국 해군이 나서 맞대응을 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북한은 어뢰정 1척이 격침되고 5척이 크게 파손 당하여
북으로 도주하면서 종결되었습니다.
제1차 연평해전이 벌어진 지 3년 후인 2002년 6월 29일,
북한은 다시 한번 북방한계선을 침범하여 무력 충돌을 일으켰습니다.
이날 오전 9시 54분부터 북방한계선을 넘기 시작한
북한 경비정 SO·1급 초계정 등산곶 684호는
오전 10시 56분까지 31분간 진행된 교전 후에야 반파된 채 북으로 퇴각했습니다.
이로써 두 번째 연평해전이 종결된 것이지요.
대한민국 해군의 피해는 6명의 전사자와 18명의 부상자를,
반면 북한은 약 30여 명의 사상자를 내었습니다.
우리나라를 위해 몸 바쳐 싸워주신 분들이 있었기에
우리가 지금까지 이렇게 안전하게 지낼 수 있는 것이겠지요.
정부는 2008년 4월 ‘서해교전’으로 불리던 이 전투를 ‘제2연평해전’으로 명명하고,
추모행사도 국가보훈처 주관하에 정부기념행사로 승격시켰습니다.
'키크는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 소화불량 예방하는 방법 (0) | 2015.07.10 |
---|---|
토마토 상하지 않게 보관하는 법, 상한 토마토 구별법 (0) | 2015.06.26 |
하지 풍습, 하지에는 왜 감자를 먹을까? (0) | 2015.06.22 |
어린이성장클리닉 면역력 강화를 위한 슈퍼푸드 (0) | 2015.06.18 |
여름 감기 예방하는 적정 온도, 적정 습도 알아보자 (0) | 2015.06.15 |